문서 보기되돌리기역링크Copy this page맨 위로 문서의 이전 판을 선택했습니다! 저장하면 이 자료로 새 판을 만듭니다. 미디어 파일 ====== 한반도, 독일, 중국문제====== ===== 1948 한반도 분단 ===== * 1945.8.8 소련: 대일 선전포고, 만주와 한반도 진입 ====38선 분단==== * 미국이 북위38도선을 기준으로 한반도를 소련과 미국이 분리점령하는 안을 제시, 소련 수용 * 미소 양국의 일본군 무장해제의 편의를 위한 임시조치 * 미국의 전략적 고려: 소련의 지배력을 한반도 북부에 묶어두기 위함 * 태평양을 미국의 내해로 계속 지배 가능 * 일본을 미국 영향권 안에 둘 수 있음 ====미소공동위원회==== * [[외교사:1_2차_세계대전:2.제2차_세계대전:전시회담 #1945 모스크바회담|1945 모스크바 회담]]에서 미-소의 최장 5년의 신탁통치, 미소공동위원회 설립에 합의 * 1946.2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결성, 토지개혁 실시 * 1946.6.3 이승만 '정읍발언' * 좌우합작((미소공위가 진전 없자 미군정이 시도)) 반대, 남한만의 단독정구너 수립 주장 * 미군정 기본정책과 배치 ==== 남북 정부수립==== * 1947 UN총회에서 한반도에서의 선거 실시 결의 * 임시위원회(UN Temporary Commission on Korea) 결성 * 1948.4.3 제주 4.3사건 * 소련,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선거 거부 * 1948.5.10 미국 점령지역에서만 선거 실시 * 1948.8.15 대한민국 정부 수립, 9.9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출범 * 1948 12 UN총회 결의: "... 이것이 한국에 있는 유일한 정부이다(the only such Government in Korea)" =====1949 독일 분단 ===== * [[외교사:1_2차_세계대전:2.제2차_세계대전:전시회담 #1945 포츠담회담|포츠담 회담]]에서 독일의 분할점령 결정, 장기적으로는 통합한다는 원칙을 협정에 규정 * [[외교사:냉전사:1948.1949.베를린.봉쇄|]] * 미소대립이 격화되면서 독일 통일 가능성 줄어듦 * 1949.9 서독(독일연방공화국, Federal Republic of Germany) 출범 * 1949.10 동독(독일민주공화국, German Democratic Republic) 출범 ====베를린 위기==== * 1949 이후 동독 주민들(~1961 동독 인구 20%)이 서독으로 탈출, 동독 정권 위기 * 1958 흐루쇼프: 미국, 영국, 프랑스의 서베를린 철군 촉구 성명 발표 * 서방 3국이 협조적으로 나오지 않을 경우 전후협정 폐기, 서방의 서베를린 접근권 무력화할 것 * 아이젠하워 거부 * 케네디 취임, 애치슨 '핵사용 불사론' * 베를린 사태는 초강대국 간 결의의 시험대 * "소련이 무력행사를 강행하면 미국은 핵무기 사용을 포함한 전면전도 불사할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" * 1961.8.13 베를린 장벽 설치 * 흐루쇼프: 서베를린을 두고 핵전쟁을 할 수는 없다고 생각 * 1961.10.17 흐루쇼프: 자신이 제시한 데드라인에 집착하지 않겠다 선언 * 1961.10.21 미국: 미사일 우위 폭로 * 동독 국경 수비대: 미국 서베를린 주재 외교관 구금 * "찰리 초소(Checkpoint Charlie)"에서 전차, 전투병력 대치 ===함의=== * 베를린이 정치적으로 포기할 수 없는 상징이 됨. * 서베를린의 지리적 위치 때문에 서방은 동독 또는 소련의 공격시 방어가 현실적으로 불가 * 미국은 서베를린 보호를 위해 많은 노력 기울임 * 1963 케네디 “나는 베를린 시민입니다.” ===== 중국 공산화 ===== [[wp>ko:국공내전]] * 1921 중국공산당 창당 * 1923 제1차 국공합작 * 1927.8 국공내전 * [[외교사:1_2차_세계대전:2.제2차_세계대전:1937.중일전쟁]] 발발로 중단: 1937.9 제2차 국공합작 * 1945.8 일본 항복, 국공 긴장 고조 * 8.9 소련의 만주 침공 * WWII 종전 직후 국민당~공산당 휴전에 합의 * 1945.6 중소동맹조약((장제스-스탈린)) 체결 * 1946.7 제2차 국공내전 * 1946 초 냉전 시작 * 일본군 무장해제, 점령지 접수 문제에 관한 갈등 * 트루먼: 일본군에게 '국민당정부군에게만 투항할 것'을 명령 * 1946.4 소련 만주에서 철수 * 소련: 공산군 지원, 미국: 국민당정부군 지원 * 1949.10 공산당 정부(중화인민공화국, People's Republic of China)선포 * 국민당 정부의 패배원인: 항일전쟁 기간 민족적 정통성 경쟁 패배, 사회경제개혁 추진 의사 결여, 인플레 등 경제혼란 수습 능력 결여, 정치와 군부의 부패, 반인민적 성격 * 1949.12 장제스 타이완((타이완 공산화는 한국전쟁 때문에 연기됨))으로 탈출 * 미국: 적극적 개입 안함 * [중국 백서]: 중국 내전 개입은 실패한다 주장 * cf. 유럽에서는 적극적 개입 (그리스 내전, 이탈리아 선거 개입, NATO 구축) * 1950.1 영국이 중국 승인 {{ :외교사:냉전사:애치슨_라인.png?nolink&400|}} * 1950.1 애치슨 선언 * [[wp>ko:애치슨 선언]] * 동아시아에서 미국의 방어선은 일본에서 오키나와를 거쳐 필리핀으로 이어진다. * 대만에 대한 방어 언급 안함 * 한반도 또한 미국 방어선에서 제외됨 인간임을 증명하기 위해 상자에 있는 모든 글자를 채워주세요. R Z A W A 이 필드는 비어 있도록 유지하세요: 저장 미리 보기 취소 편집 요약 참고: 이 문서를 편집하면 내용은 다음 라이선스에 따라 배포하는 데 동의합니다: CC Attribution-Noncommercial-Share Alike 4.0 International