외교사:1_2차_세계대전:1.제1차_세계대전:빌헬름.2.세의.세계정책.weltpolitik

차이

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
차이 보기로 링크

양쪽 이전 판 이전 판
외교사:1_2차_세계대전:1.제1차_세계대전:빌헬름.2.세의.세계정책.weltpolitik [2025/05/12 01:04]
162.158.187.182 이전 판으로 되돌림 (2025/05/11 20:29)
외교사:1_2차_세계대전:1.제1차_세계대전:빌헬름.2.세의.세계정책.weltpolitik [2025/05/12 02:19] (현재)
162.158.90.69 이전 판으로 되돌림 (2025/05/11 20:29)
줄 1: 줄 1:
 ====== 빌헬름 2세의 세계정책(Weltpolitik)====== ====== 빌헬름 2세의 세계정책(Weltpolitik)======
 +<well> 비스마르크 퇴임 이후 빌헬름2세의 세계정책과 그로인한 영국-프랑스-러시아의 밀착 </well>
 =====비스마르크 퇴임===== =====비스마르크 퇴임=====
   * 비스마르크: 현상유지 vs 빌헬름 2세: 현상타파   * 비스마르크: 현상유지 vs 빌헬름 2세: 현상타파
   * 1890.3 비스마르크 퇴임   * 1890.3 비스마르크 퇴임
-====1890.6 재보장조약 연장 거부 ====+====1890.6 재보장조약의 연장 거부 ==== 
 +<list-group>
   * [[외교사:서양사:3_비스마르크_보장체제:1887_독러재보장조약]]   * [[외교사:서양사:3_비스마르크_보장체제:1887_독러재보장조약]]
   * [[외교사:서양사:4_비스마르크체제_해체_재정렬:1890_1905_비스마르크_체제의_해체기|비스마르크 보장체제의 해체]]   * [[외교사:서양사:4_비스마르크체제_해체_재정렬:1890_1905_비스마르크_체제의_해체기|비스마르크 보장체제의 해체]]
-  * 복합적 동맹네트워크 관리 능력과 의지의 부재+</list-group> 
 +  * 복합적 동맹네트워크 관리 능력과 의지의 부재
   * 영국과의 관계개선에 독러 재보장조약이 부담된다고 판단   * 영국과의 관계개선에 독러 재보장조약이 부담된다고 판단
   * 러시아-프랑스는 결코 접근하지 않을 것이라 믿음   * 러시아-프랑스는 결코 접근하지 않을 것이라 믿음
줄 23: 줄 26:
   * 극대화된 안보상호의존성, 동맹의존성(chain-ganging) 증대, 구조적 경직성   * 극대화된 안보상호의존성, 동맹의존성(chain-ganging) 증대, 구조적 경직성
  
-==== 세계정책(Weltpolitik) ====+===== 세계정책(Weltpolitik) ====
 +  * 1894 카프리비 퇴진 이후 본격적 제국주의화 
 +  * 사회적 제국주의(social imperialism): 제국주의적 팽창이 국내 사회적 문제 해결에 유용한 수단이다 
 +====극동 진출==== 
 +  * [[외교사:동양사:2.청일전쟁.러일전쟁:1895_삼국간섭|3국간섭]] 참여: 큰 실익은 없지만 제국주의적 팽창 자체가 목적이 됨 
 +  * [[외교사:동양사:1_한중일_개항기:제1_2차_아편전쟁|난징조약]]을 기초로 자오저우만 조차 
 +    * 해군기지로 활용. 극동함대사령부 설치 
 +====영국과의 건함경쟁==== 
 +=== 독일의 해군증강 정책==== 
 +  * 알프레드 마한, 티르피츠 제독에 영향받음. 
 +  * 해군주의자들(navalists): 방산기업인 + 해군장교, 군산복합체의 영향 
 +  * 제1 함대법(the First Fleet Act), 제2 함대법: 티르피츠의 해군 건설 노선. 빌헬름 2세가 공개적으로 지지 
 +    * 영국을 위협. 영국은 노급함 건조로 대응 
 +    * 영국과의 건함경쟁 시작 
 +===영국의 대응=== 
 +  * 독일의 위협에 더해 제2차 보어전쟁, 만주 문제, 인디아 안전보장문제 
 +  * 영광스러운 고립(the Splendid Isolation)노선 변경 
 +  * [[외교사:동양사:2.청일전쟁.러일전쟁:영일동맹|]]으로 일본에게 동아시아 문제(러시아 봉쇄)를 일임 
 +    * 빌헬름 2세: 독러재보장조약 파기 + 영국은 러시아 견제를 위해 영일동맹 체결 → 영국이 독일과 한 편이 될 것이라 예측함((어이없음)) 
 +  * 프랑스와의 밀착 
 +    * {{section>외교사:서양사:4_비스마르크체제_해체_재정렬:1890_1905_비스마르크_체제의_해체기#1904 영불협상&nodate&nouser&nofooter&link}}
  
-\\ +==== 1905 제1차 모로코 위기 ==== 
-3국간섭 +  * 빌헬름 2세: 독일이 막강한 힘을 과시하면 영국이 독일과 동맹을 체결할 것이라 믿음((어이없음)) 
-난징조약저우만 조차 +  * 1905.모로코의 탕헤르((프랑스가 지배, 스페인과 영이 인정)) 방문, 모로코가 주권국가임을 선포 
-영국과의 건함경쟁+  * 1906 알헤리라스 회의: 모든 열강들 프랑스 지지, 오스트리아-헝가리만 독일 지지 
 +    * 모로코에서 프랑스의 특수이익 지지, 독일 고립 
 +  * 영국과 러시아의 밀착 
 +    * 크로우: 영국의 주 경쟁국은 약화된 러시아(([[외교사:서양사:4_비스마르크체제_해체_재정렬:1904_러일전쟁|러일전쟁]] 패배))가 아닌 팽창주의 신흥강국 독일이다. 영러간 관계강화 필요성 주장 
 +    * [[외교사:서양사:4_비스마르크체제_해체_재정렬:1907_영러협상]] 
 +  
 +====1911 제2차 모로코 위기==== 
 +  * 모로코에서 술탄에 저항하는 봉기 발생하자 프랑스가 군대 파견((1906 알헤시라스 협정 위반)) 
 +  * 빌헬름 2세: 독일 상인 보호를 구실로 아가디르에서 무력시위 
 +    * 영국: 독일이 프랑스 공격시 영국군 파병할 것을 선언 
 +  * 독일: 아프리카 식민지 약간 얻는 대가로 모로코에 대한 프랑스의 행정지배권 인정 
 +  * 유럽의 세력 구도가 독-오를 영-프-러가 둘러싸는 형태로 굳어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