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서 보기되돌리기역링크Copy this page맨 위로 문서의 이전 판을 선택했습니다! 저장하면 이 자료로 새 판을 만듭니다. 미디어 파일 ====== 빌헬름 2세의 세계정책(Weltpolitik)====== =====비스마르크 퇴임===== * 비스마르크: 현상유지 vs 빌헬름 2세: 현상타파 * 1890.3 비스마르크 퇴임 ====1890.6 재보장조약 연장 거부 ==== * [[외교사:서양사:3_비스마르크_보장체제:1887_독러재보장조약]] * [[외교사:서양사:4_비스마르크체제_해체_재정렬:1890_1905_비스마르크_체제의_해체기|비스마르크 보장체제의 해체]] * 복합적 동맹네트워크 관리 능력의과 의지의 부재 * 영국과의 관계개선에 독러 재보장조약이 부담된다고 판단 * 러시아-프랑스는 결코 접근하지 않을 것이라 믿음 * 러시아 목표: 흑해함대의 지중해 진출 ↔ 프랑스: 반대 * 프랑스 목표: 알자스 로렌 회복 ↔ 러시아: 독일과 전쟁을 감수할 이유 없음 ====러시아와 프랑스의 밀착==== * 러시아: 독러재보장 폐기로 오스트리아-헝가리의 대러시아 모험주의 우려 * 프랑스: 오랜 외교적 고립으로 러시아와의 협력에 적극적 * 1891 화친조약(Entente Cordiale) 체결, 1894 동맹조약(Dual Alliance) 체결 * 독일: 프랑스, 러시아 양국에 포위됨. '2개 전선' 실현((참고: [[외교사:서양사:3_비스마르크_보장체제:비스마르크_동맹체제]])) ==== 쉴리펜 계획 ==== * '2개 전선'의 위험성 부각: 군사자원을 양분하지 않는 전략이 필요하게 됨 * 전쟁 발발시 동부전선은 수비, 주력부대가 네덜란드((이후 제외)), 벨기에를 거쳐 프랑스 북부를 급습, 승리한 후 동부전선에서 러시아를 패퇴시킨다 * 6주 이내에 프랑스를 군사적으로 굴복시켜야 함 * 1914 전쟁에서 쉴리펜 계획대로 실행했으나 기동성이 충분히 발휘하지 못함 * 극대화된 안보상호의존성, 동맹의존성(chain-ganging) 증대, 구조적 경직성 ==== 세계정책(Weltpolitik) ==== \\ 3국간섭 난징조약, 자오저우만 조차 영국과의 건함경쟁 인간임을 증명하기 위해 상자에 있는 모든 글자를 채워주세요. C L D E I 이 필드는 비어 있도록 유지하세요: 저장 미리 보기 취소 편집 요약 참고: 이 문서를 편집하면 내용은 다음 라이선스에 따라 배포하는 데 동의합니다: CC Attribution-Noncommercial-Share Alike 4.0 International