외교사:냉전사:nato.vs.wp

Action unknown: copypageplugin__copy

NATO vs WP

북대서양조약기구(The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)
ko:북대서양조약기구

  • 왈트(S.Walt) 위협균형론(Balance of Threat)에 의한 설명
    • aggregate power: 소련은 상대적 힘에서는 미국에 비해 떨어지지만
    • geographic proximity: 동부유럽을 점령하고
    • offensive power: 서부유럽 공격을 위한 군사력을 배치함
    • agressive intention: 제2차 세계대전 종결 후 미국의 병력은 해산했음에도 소련은 병력의 상당부분을 유지함
  • 1949 NATO 출범: 1948 서부유럽연합 국가들에 미국, 캐나다, 포르투칼, 이탈리아, 노르웨이 등이 합류

바르샤바조약기구(Warsaw Pact)
ko:바르샤바조약기구

  • 1949 서독이 NATO에 통합, 서독군 창설 움직임이 공식화됨
  • 소련은 “독일군의 부활”을 용납하지 않겠다며 동부유럽에 대한 군사적 통제권을 제도적으로 강화
  • 냉전기간동안 그리고 냉전 종식 이후에도 가입국이 계속 확대됨
  • 1952 그리스, 터키 가입
  • 1955 서독 가입, 서독군 창설 (→WP창설)
  • 1982 스페인 가입
  • (냉전종식) 1990.10 동독이 서독에 흡수, NATO 관할지역 확대
  • 1999, 2004, 2009 중부 및 동부유럽국가들 가입
  • 가입국가가 확대되지 않음. 오히려 축소
  • 유고슬라비아; 소련과 긴장관계. 비동맹국가 지위 유지
  • 알바니아: 중소분쟁 시작되면서 사실상 떨어져 나옴
    • 1961 지지 철회 → 소련이 알바니아와의 외교관계 단절
    • 1968 WP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이후로 완전히 탈퇴
  • 체코슬로바키아: 1968 자유운동 발생 → 소련이 WP국가들 동원하여 침공.
  • Keep the Americans In: 미국이 유럽 대륙에 주둔하는 것
  • Keep the Russians Out: 소련이 서부유럽을 침공하지 못하도록 억지하는 것
  • Keep the Germans Down: 독일이 다시 공격적으로 행동하지 못하도록 통제하는 것.
  • 추가된 또 다른 목적: 독일 군사력의 통제
    • 한국전쟁 이후 서유럽국가들 사이에서 과거 나치 독일군(Wehrmacht)과는 다른 서독군(Bundeswehr)의 창설 필요성에 대한 합의 형성
    • 독자적 행동이 제약되고, NATO 지휘하에 배속된 서독군의 창설을 위해 서방국가들간 협상, 독자적 평화조약 체결
    • “미국이 통제하는 서독군”에 대해서는 소련도 만족
  • COMECON(Council for Mutual Economic Assistance)의 작동에 필요한 군사적 제도 구축
  • 독일의 군사적 부활과 미국의 공격을 재래식 측면에서 억제
  • 브레즈네프 독트린:
    • “사회주의 국가의 주권은 사회주의 전체의 이익을 위해 제한될 수 있으며, 일부 사회주의 국가가 사회주의를 포기하고 자본주의로 전향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모든 사회주의 국가들은 협력하여 이를 저지할 수 있다.”
    • 1956 헝가리가 WP탈퇴 선언하자 침공
    • 1968 체코슬로바키아 자유운동 발생하자 침공